모니터링 구분
소개
모니터링 추가시 필요한 항목 및 아이템들을 정의 하는 페이지 입니다.
모니터링은 총 6가지(자원, 서비스, 트래픽, 웹, DB, 로그)로 구분되며, 각기 다른 모니터링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니터링 항목들은 다양한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이템들의 단위를 참고하여 편리하게 모니터링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아이템 단위 중 1 or 0 인 항목은 리턴 값에 따라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의미가 조금씩 다르므로 , 모니터링 추가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이템 단위는 자동으로 입력되므로, 단위를 직접 입력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자원 모니터링
서버의 자원 사용률을 모니터링 합니다.
서비스 모니터링
서버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및 서비스를 모니터링 합니다.
서비스 모니터링 항목들은 모니터링을 등록할때 사용자가 직접 모니터링 항목을 정의해야 합니다.
자동으로 모니터링 할 서버 IP의 정보를 받아오므로, IP 입력을 하지 않습니다.
Process 수, URL 응답 속도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은 모니터링 추가시에 조건식 입력이 필요 없습니다.
트래픽 모니터링
서버의 트래픽을 모니터링 합니다.
아이템명 앞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명이 붙습니다.
- Linux : ifconifg 명령어로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ex) eth0 Inbound 트래픽(Bps)
- Windows : ipconfig 명령어로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리눅스에 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명이 매우 깁니다. ex) Citrix PV Network Adapter #0 Inbound 트래픽(Bps)
웹 모니터링
웹사이트 감시 및 웹 서비스, 웹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합니다.
웹사이트 감시를 추가하면 모니터링 항목이 추가 됩니다.
DB 모니터링
DB 서비스 및 DB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합니다.
로그 모니터링
로그가 반환하는 문자열을 이용해 모니터링을 합니다.
실시간 로그도 확인이 가능하며, 로그 감시를 추가하면 모니터링 항목이 추가 됩니다.
로그 감시 추가 항목이 곧 모니터링 항목이 되기 때문에 로그 모니터링은 아이템 항목이 없습니다.
모니터링 추가시 필요한 항목 및 아이템들을 정의 하는 페이지 입니다.
모니터링은 총 6가지(자원, 서비스, 트래픽, 웹, DB, 로그)로 구분되며, 각기 다른 모니터링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니터링 항목들은 다양한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이템들의 단위를 참고하여 편리하게 모니터링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아이템 단위 중 1 or 0 인 항목은 리턴 값에 따라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의미가 조금씩 다르므로 , 모니터링 추가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이템 단위는 자동으로 입력되므로, 단위를 직접 입력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자원 모니터링
서버의 자원 사용률을 모니터링 합니다.
항목 | 아이템 | 설명 | 단위 | Linux | Windows |
---|---|---|---|---|---|
CPU | CPU 사용량 | 컴퓨터 프로그램이 CPU를 차지하여 일을 한 시간의 양(Linux : CPU User, Windows : CPU System) | % | O | O |
CPU User | 사용자가 사용한 CPU 시간 백분율 | % | O | X | |
CPU System | 커널에서 사용한 CPU 시간 백분율 | % | O | O | |
CPU Steal | 하이퍼바이저가 다른 가상 프로세서에 의해 서비스될때 기다리는 CPU 시간 백분율 | % | O | X | |
CPU Softirq | S/W 인터럽트를 서비스하기 위해 사용된 CPU 사용률 | % | O | X | |
CPU Nice | Nice(작업 우선 순위)정책과 함께 사용자 레벨(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된 CPU 사용률 | % | O | X | |
CPU Iowait | I/O 처리 때문에 기다리는 CPU 시간 백분율 | % | O | X | |
CPU Idle | 유휴한 CPU 시간 백분율 | % | O | X | |
CPU Guest | 가상 프로세서가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CPU 사용률 | % | O | X | |
Disk | 디스크/드라이브 총 용량 | 디스크(Linux)/드라이브(Windows) 의 총 용량 | Bytes | O | O |
디스크/드라이브 여유 용량(%) | 디스크(Linux)/드라이브(Windows) 의 사용가능한 용량 백분율 | % | O | O | |
디스크/드라이브 여유 용량 | 디스크(Linux)/드라이브(Windows) 의 사용가능한 용량 | Bytes | O | O | |
디스크/드라이브 사용 용량(%) | 디스크(Linux)/드라이브(Windows) 의 사용중인 용량 백분율 | % | O | O | |
디스크/드라이브 사용 용량 | 디스크(Linux)/드라이브(Windows) 의 사용중인 용량 | Bytes | O | O | |
디스크 I/O READ | 읽기 작업동안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전송되는 초당 바이트 수 | Bytes/sec | O | X | |
디스크 I/O WRITE | 쓰기 작업동안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전송되는 초당 바이트 수 | Bytes/sec | O | X | |
Drive Time(%) | 디스크 드라이브가 읽기 또는 쓰기 요청을 처리하는데 사용된 시간의 백분율 | % | X | O | |
Load Average | 1분 평균 | 동작 중인 Process 수의 1분 평균 데이터 | - | O | O |
5분 평균 | 동작 중인 Process 수의 5분 평균 데이터 | - | O | O | |
15분 평균 | 동작 중인 Process 수의 15분 평균 데이터 | - | O | O | |
Memory | 캐쉬 메모리 | 기존에 실행된 프로그램들이 사용했던 메모리로 실행 중이거나 새로 시작될 프로그램들이 필요할 때 빠르게 재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영역 (Free 영역의 일부이므로 사용 가능한 메모리에 포함되며 사용 용량이 많아도 서버 성능에 지장이 없다) |
Bytes | O | O |
버퍼 메모리 | 일부 프로세스에 의해 발생한 임시 메모리(Free 영역의 일부이므로 사용 가능한 메모리에 포함되며 사용 용량이 많아도 서버 성능에 지장이 없다) | Bytes | O | X | |
메모리 총 용량 | 서버에 할당된 총 메모리 용량 | Bytes | O | O | |
메모리 여유 용량 | 사용 할 수 있는 메모리 용량 | Bytes | O | O | |
메모리 사용 용량(%) | 현재까지 사용된 메모리 용량의 백분율 | % | O | O | |
메모리 사용 용량 | 현재까지 사용된 메모리 용량 | Bytes | O | O | |
Memory(Swap) | Swap 메모리 총 용량 | 서버에 할당된 총 Swp 메모리 용량 | Bytes | O | O |
Swap 메모리 여유 용량(%) | 사용 할 수 있는 Swap 메모리 용량의 백분율 | % | O | O | |
Swap 메모리 여유 용량 | 사용 할 수 있는 Swap 메모리 용량 | Bytes | O | O | |
Swap 메모리 사용 용량(%) | 현재까지 사용된 Swap 메모리 용량의 백분율 | % | O | O | |
Swap 메모리 사용 용량 | 현재까지 사용된 Swap 메모리 용량 | Bytes | O | O | |
Swap In | 프로세스의 정보들이 Swap 메모리 영역에서 메모리로 옭겨 지는 과정 | Pages/sec | O | X | |
Swap Out | 프로세스의 정보들이 메모리에서 Swap 메모리 영역으로 옭겨 지는 과정 | Pages/sec | O | X | |
Process | 프로세스 수(Total) | 서버에서 실행되고 있는 모든 프로세스의 수 | - | O | X |
프로세스 수(Zombie) | 프로세스 종료 후 부모 프로세스가 자식 프로세스 상태를 종료 반환 값을 읽어가고 관련 리소스를 해제해주기를 대기하는 상태의 프로세스 수 | - | O | X | |
프로세스 수(Sleeping) | CPU 자원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 프로세스 수 | - | O | X | |
프로세스 수(Running) | 현재 실행중이거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 수 | - | O | X | |
프로세스 수 | 서버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 수 | - | X | O | |
쓰레드 수 | 데이터 수집 당시 컴퓨터에 있는 쓰레드의 수(통계 값이 아닌 현재 값), 쓰레드는 프로세서에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엔터티 | - | X | O | |
Server | 서버 접속 유저 수 | 현재 서버에 접속한 유저 수 | - | O | X |
서버 가동 시간 | 부팅 이후 서버 가동 시간 | s(second) | O | O |
서비스 모니터링
서버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및 서비스를 모니터링 합니다.
서비스 모니터링 항목들은 모니터링을 등록할때 사용자가 직접 모니터링 항목을 정의해야 합니다.
자동으로 모니터링 할 서버 IP의 정보를 받아오므로, IP 입력을 하지 않습니다.
Process 수, URL 응답 속도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은 모니터링 추가시에 조건식 입력이 필요 없습니다.
항목 | 설명 | 단위 | Linux | Windows |
---|---|---|---|---|
PING | PING 체크 (클라우드 서버의 경우 PING 포트를 열어야 정상 동작) 단위 : 정상적으로 응답하면 1, 응답하지 않으면 0 |
1 or 0 | O | O |
PORT(TCP) | TCP 포트 체크 (TCP 포트만 입력) 단위 : 정상적으로 응답하면 1, 응답하지 않으면 0 |
1 or 0 | O | O |
PORT(UDP) | UDP 포트 체크 (UDP 포트만 입력) 단위 : 정상적으로 응답하면 1, 응답하지 않으면 0 |
1 or 0 | O | X |
Process 수 | 특정 프로세스 수 체크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포트와 프로세스 명을 입력) ex) 포트:80, 프로세스 명:httpd |
- | O | O |
URL 응답 | 웹 프로세스가 서비스하는 URL 응답 체크 (서비스 URL, 서비스 포트, 프로세스 명을 입력) ex) 서비스 URL : http://www.ncloud24.com , 서비스 포트 : 80 , 프로세스 명 : httpd 단위 : 정상적으로 응답하면 1, 응답하지 않으면 0 |
1 or 0 | O | O |
URL 응답 속도 | 웹 프로세스가 서비스하는 URL 응답 속도 모니터링 (서비스 URL, 서비스 포트, 프로세스 명을 입력) ex) 서비스 URL : http://www.ncloud24.com , 서비스 포트 : 80 , 프로세스 명 : httpd |
s(second) | O | O |
키워드 | 웹 프로세스가 서비스하는 웹 페이지의 화면에 표시되는 TEXT 리턴값으로 웹페이지가 정상 동작하는지 모니터링(서비스 URL, 서비스 포트, 키워드, 프로세스 명을 입력) ex) 서비스 URL : http://www.ncloud24.com , 서비스 포트 : 80 , 키워드: Ncloud24, 프로세스 명 : httpd 단위 : 키워드가 있으면 1, 없으면 0 |
1 or 0 | O | O |
트래픽 모니터링
서버의 트래픽을 모니터링 합니다.
아이템명 앞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명이 붙습니다.
- Linux : ifconifg 명령어로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ex) eth0 Inbound 트래픽(Bps)
- Windows : ipconfig 명령어로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리눅스에 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명이 매우 깁니다. ex) Citrix PV Network Adapter #0 Inbound 트래픽(Bps)
항목 | 아이템 | 설명 | 단위 | Linux | Windows |
---|---|---|---|---|---|
Inbound | Inbound 트래픽(bps) | 서버 내부로 데이터가 유입될 때 발생하는 트래픽의 초당 비트 수 | bps | O | O |
Inbound 트래픽(Packets/sec) | 서버 내부로 데이터가 유입될 때 발생하는 트래픽의 초당 패킷 수 | pps(Packets/sec) | O | O | |
Inbound 트래픽(Dropped/sec) | 서버 내부로 데이터가 유입될 때 발생하는 트래픽중 방화벽이나 여러가지 이유로 차단당한 초당 패킷 수 | Dropped/sec | O | O | |
Inbound 트래픽(Errors/sec) | 서버 내부로 데이터가 유입될 때 발생하는 트래픽중 실패한 초당 패킷 수 | Errors/sec | O | O | |
Outbond | Outbond 트래픽(bps) | 서버 내에서 외부로 데이터가 전송되었을 때 발생하는 트래픽의 초당 비트 수 | bps | O | O |
Outbond 트래픽(Packets/sec) | 서버 내에서 외부로 데이터가 전송되었을 때 발생하는 트래픽의 초당 패킷 수 | pps(Packets/sec) | O | O | |
Outbond 트래픽(Dropped/sec) | 서버 내에서 외부로 데이터가 전송되었을 때 발생하는 트래픽중 방화벽이나 여러가지 이유로 차단당한 초당 패킷 수 | Dropped/sec | O | O | |
Outbond 트래픽(Errors/sec) | 서버 내에서 외부로 데이터가 전송되었을 때 발생하는 트래픽중 실패한 초당 패킷 수 | Errors/sec | O | O | |
Collisions | 네트워크 Collisions | 서버에 다수의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을시에, 네트워크 간 충돌이 일어난 수 | - | O | X |
웹 모니터링
웹사이트 감시 및 웹 서비스, 웹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합니다.
웹사이트 감시를 추가하면 모니터링 항목이 추가 됩니다.
항목 | 아이템 | 설명 | 단위 | Linux | Windows |
---|---|---|---|---|---|
웹사이트 감시 | 웹사이트 감시 실패 | 웹에서 웹사이트 감시를 추가하면 생성되는 아이템으로 감시하는 도중 실패시에 1을 리턴(0 : 서비스 Up, 1 : 서비스 Down) | 1 or 0 | O | O |
응답속도 | 웹에서 웹사이트 감시를 추가하면 생성되는 아이템으로 감시하는 목록의 응답 속도를 체크 | Bytes/sec | O | O | |
Apache | 총 서비스한 바이트 | 서비스 시작 후 총 서비스한 바이트 수 | Bytes | O | O |
서비스 중인 Worker | 요청을 서비스하는 Worker의 수 | Workers | O | O | |
대기 중인 Worker | 대기 중인(Idle) Worker의 수 | Workers | O | O | |
요청당 평균 바이트(Bytes/request) | 요청당 평균 바이트 수 | Bytes/request | O | O | |
서비스한 바이트(Bytes/sec) | 초당 서비스한 바이트 수 | Bytes/sec | O | O | |
평균 요청(Requests/sec) | 초당 평균 요청 수 | Requests/sec | O | O | |
가동시간(s) | 서비스 시작 후 현재까지 서비스를 실행 하고 있는 시간 | s(second) | O | O | |
CPU 사용량(System) | Apache 프로세스에 의해 시스템 레벨(커널)에서 사용한 CPU 사용률 | % | O | O | |
CPU 사용량(User) | Apache 프로세스가 사용한 CPU 사용률 | % | O | O | |
메모리 평균 사용량 | Apache 프로세스가 사용한 메모리 평균 사용량 | Bytes | O | X | |
메모리 최대 사용량 | Apache 프로세스가 사용한 메모리 최대치 | Bytes | O | O | |
메모리 사용량 | Apache 프로세스가 사용한 메모리 | Bytes | X | O | |
프로세스 수 | 현재 동작하고 있는 Apache 프로세스 수 | - | O | O | |
Apache Tomcat | 데이터 수신 속도(Bytes/sec) | 해당 인스터스 서비스의 데이터 수신 속도 | Bytes/sec | O | O |
데이터 전송 속도(Bytes/sec) | 해당 인스터스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 속도 | Bytes/sec | O | O | |
발생된 오류(Errors/sec) | 해당 인스턴스 서비스 중 발생한 초당 오류 횟수 | Errors/sec | O | O | |
요청 처리 시간(s) | 해당 인스턴스가 요청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평균 시간 | s(second) | O | O | |
평균 요청(Requests/sec) | 해당 인스턴스 서비스 중 초당 발생하는 평균 요청 수 | Requests/sec | O | O | |
할당된 쓰레드 | 해당 인스턴스에 할당된 쓰레드 수 | - | O | O | |
서비스 중인 쓰레드 | 해당 인스턴스가 서비스 중인 쓰레드 수 | - | O | O | |
쓰레드 최대치 | 해당 인스턴스에 할당된 최대 쓰레드 수 | - | O | O | |
CPU 사용량(System) | 해당 인스턴스에 의해 시스템 레벨(커널)에서 사용한 CPU 사용률 | % | O | O | |
CPU 사용량(User) | 해당 인스턴스가 사용한 CPU 사용률 | % | O | O | |
메모리 평균 사용량 | 해당 인스턴스가 사용한 메모리 평균 사용량 | Bytes | O | X | |
메모리 최대 사용량 | 해당 인스턴스가 사용한 메모리 최대치 | Bytes | O | O | |
메모리 사용량 | 해당 인스턴스가 사용한 메모리 | Bytes | X | O | |
프로세스 수 | 현재 동작하고 있는 Tomcat 프로세스 수 | - | O | O | |
Nginx | CPU 사용량(System) | Nginx 프로세스에 의해 시스템 레벨(커널)에서 사용한 CPU 사용률 | % | O | O |
CPU 사용량(User) | Nginx 프로세스가 사용한 CPU 사용률 | % | O | O | |
메모리 평균 사용량 | Nginx 프로세스가 사용한 메모리 평균 사용량 | Bytes | O | X | |
메모리 최대 사용량 | Nginx 프로세스가 사용한 메모리 최대치 | Bytes | O | O | |
메모리 사용량 | Nginx 프로세스가 사용한 메모리 | Bytes | X | O | |
프로세스 수 | 현재 동작하고 있는 Nginx 프로세스 수 | - | O | O | |
IIS | 서비스 대기중인 요청 | 큐에서 서비스를 대기중인 요청 수 | - | X | O |
서비스 시작 후 전체 세션 수 | 서비스 시작 후 전체 세션의 수 | - | X | O | |
데이터 수신 속도(Bytes/sec) | 웹 서비스의 데이터 수신 속도 | Bytes/sec | X | O | |
데이터 전송 속도(Bytes/sec) | 웹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 속도 | Bytes/sec | X | O | |
연결 시도(Connections/sec) | 웹 서비스로 연결을 시도하는 초당 횟수 | Connections/sec | X | O | |
현재 접속 수 | 현재 웹 서비스에 접속한 수 | - | X | O | |
최대 접속 수 | 서비스 시작 후 동시에 접속한 최대 수 | - | X | O | |
Get 요청(Requests/sec) | Get 함수를 사용하여 만든 HTTP 초당 요청 수 | Requests/sec | X | O | |
Post 요청(Requests/sec) | Post 함수를 사용하여 만든 HTTP 초당 요청 수 | Requests/ec | X | O | |
가동시간(s) | 서비스 시작 후 현재까지 서비스를 실행 하고 있는 시간 | s(second) | X | O | |
파일 캐쉬 사용률(%) | 서비스 시작 후 총 캐쉬 요청 수에 대한 파일 캐쉬 사용 횟수의 비율 | % | X | O | |
파일 캐쉬 사용 횟수 | 서비스 시작 후 파일 캐쉬에서 성공한 총 조회 수 | - | X | O | |
파일 캐쉬 실패 횟수 | 서비스 시작 후 파일 캐쉬에서 실패한 총 조회 수 | - | X | O | |
URI 캐쉬 사용률(%) | 서비스 시작 후 총 캐쉬 요청 수에 대한 URI 캐쉬 사용 횟수의 비율 | % | X | O | |
URI 캐쉬 사용 횟수 | 서비스 시작 후 URI 캐쉬에서 성공한 총 조회 수 | - | X | O | |
URI 캐쉬 실패 횟수 | 서비스 시작 후 URI 캐쉬에서 실패한 총 조회 수 | - | X | O | |
CPU 사용량(System) | IIS 프로세스에 의해 시스템 레벨(커널)에서 사용한 CPU 사용률 | % | X | O | |
CPU 사용량(User) | IIS 프로세스가 사용한 CPU 사용률 | % | X | O | |
메모리 최대 사용량 | IIS 프로세스가 사용한 메모리 최대치 | Bytes | X | O | |
메모리 사용량 | IIS 프로세스가 사용한 메모리 | Bytes | X | O | |
프로세스 수 | 현재 동작하고 있는 IIS 프로세스 수 | - | X | O |
DB 모니터링
DB 서비스 및 DB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합니다.
항목 | 아이템 | 설명 | 단위 | Linux | Windows |
---|---|---|---|---|---|
MySQL | PING | MySQL 프로세스 서비스 상태 확인 (1 : 서비스 Up, 0 : 서비스 Down) | 1 or 0 | O | O |
key_reads/key_read_requests(%) | 물리적인 디스크가 아닌 캐쉬로 부터 데이터를 읽은 비율 | % | O | O | |
Cache Miss Rate(%) | 캐쉬 실패율 | % | O | O | |
클라이언트 접속당 실행된 쿼리 | 서비스 시작 후 클라이언트가 접속하여 쿼리문을 실행한 횟수 | - | O | O | |
Connection Usage(%) | 클라이언트 접속률 | % | O | O | |
InnoDB Buffer Pool Hit ratio(%) | InnoDB 버퍼 사용률 | % | O | O | |
key_reads/key_writes(%) | 키 캐쉬가 아닌 물리적인 디스크에서 키 블락을 읽고 쓴 비율 | % | O | O | |
Key Buffer Usage(%) | 키 버퍼 사용률 | % | O | O | |
Connection Miss Rate(%) | 클라이언트 접속 실패율 | % | O | O | |
Query Cache Hit ratio(%) | 쿼리 캐쉬 재 사용률 | % | O | O | |
수신된 바이트(Bytes/sec) | 서비스 시작 후 클라이언트로 부터 수신된 초당 바이트 수 | Bytes/sec | O | O | |
전송한 바이트(Bytes/sec) | 서비스 시작 후 클라이언트에 전송한 초당 바이트 수 | Bytes/sec | O | O | |
실행된 DELETE 쿼리(Queries/sec) | 서비스 시작 후 DELETE 쿼리가 초당 실행된 횟수 | Queries/sec | O | O | |
실행된 INSERT 쿼리(Queries/sec) | 서비스 시작 후 INSERT 쿼리가 초당 실행된 횟수 | Queries/sec | O | O | |
실행된 SELECT 쿼리(Queries/sec) | 서비스 시작 후 SELECT 쿼리가 초당 실행된 횟수 | Queries/sec | O | O | |
실행된 UPDATE 쿼리(Queries/sec) | 서비스 시작 후 UPDATE 쿼리가 초당 실행된 횟수 | Queries/sec | O | O | |
접속한 클라이언트(Connections/sec) | 서비스 시작 후 초당 접속한 클라이언트 수 | Connections/sec | O | O | |
실행된 쿼리(Queries/sec) | 서비스 시작 후 초당 실행된 쿼리문 횟수 | Queries/sec | O | O | |
슬로우 쿼리 수 | 서비스 시작 후 발생한 슬로우 쿼리 수 | - | O | O | |
가동시간(s) | 서비스 시작 후 현재까지 서비스를 실행 하고 있는 시간 | s(second) | O | O | |
CPU 사용량(System) | MySQL 프로세스에 의해 시스템 레벨(커널)에서 사용한 CPU 사용률 | % | O | O | |
CPU 사용량(User) | MySQL 프로세스가 사용한 CPU 사용률 | % | O | O | |
메모리 최대 사용량 | MySQL 프로세스가 사용한 메모리 최대치 | Bytes | O | O | |
메모리 평균 사용량 | MySQL 프로세스가 사용한 메모리 평균 사용량 | Bytes | O | X | |
메모리 사용량 | MySQL 프로세스가 사용한 메모리 | Bytes | X | O | |
프로세스 수 | 현재 동작하고 있는 MySQL 프로세스 수 | - | O | O | |
MSSQL | 테이블 스캔(Scans/sec) | 제한되지 않은 전체 스캔 수 | Scans/sec | X | O |
생성된 작업 파일(Created/sec) | 초당 생성된 작업 파일 수 | Created/sec | X | O | |
생성된 작업 테이블(Created/sec) | 초당 생성된 작업 테이블 수 | Created/sec | X | O | |
플러시된 페이지(Pages/sec) | 모든 커밋되지 않은 페이지를 플러시해야 할 기타 작업이나 검사점에 의해 초당 플러시된 페이지 수 | Pages/sec | X | O | |
기록된 버퍼(Writes/sec) | 버퍼 관리자의 지연 기록기가 기록한 초당 버퍼 수 | Writes/sec | X | O | |
읽은 페이지(Reads/sec) | 실제 데이터 베이스의 초당 페이지 읽기 수 | Reads/sec | X | O | |
기록된 페이지(Writes/sec) | 실제 데이터 베이스의 초당 페이지 쓰기 수 | Writes/sec | X | O | |
실행된 트랜잭션(Transactions/sec) |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시작된 초당 트랜잭션 수 | Transactions/sec | X | O | |
래치 요청(Waits/sec) | 즉시 처리될 수 없어 래치 허가 전에 기다려야 하는 초당 래치 요청 수 | Waits/sec | X | O | |
잠금 요청(Waits/sec) | 잠금 관리자에서 초당 요청한 새 잠금 및 잠금 변환 수 | Waits/sec | X | O | |
발생된 데드락(Deadlocks/sec) | 교착 상태를 일으킨 초당 잠금 요청 수 | Deadlocks/sec | X | O | |
발생한 오류(Errors/sec) | 초당 오류 횟수 | Errors/sec | X | O | |
배치 요청(Requests/sec) | 서버에 의해 수신된 초당 SQL 일괄 처리 요청 수 | Requests/sec | X | O | |
실행된 컴파일(Compilations/sec) | 초당 SQL 컴파일 횟수 | Compilations/sec | X | O | |
실행된 리컴파일(Compilations/sec) | 초당 SQL 리컴파일 횟수 | Compilations/sec | X | O | |
작업 테이블 캐쉬율(%) | 작업 테이블의 첫 두 페이지가 할당되지 않았지만 작업 테이블 캐쉬에서 즉시 사용 가능한 곳에 생성된 작업 테이블의 비율 | % | X | O | |
버퍼 캐쉬 사용률(%) | 디스크에서 읽지 않고 버퍼 풀에서 찾은 페이지 비율 | % | X | O | |
페이지 기대 수명(s) | 페이지가 참조 없이 버퍼 풀에 머무리는 시간(초) | s(second) | X | O | |
현재 접속된 클라이언트 | 현재 접속한 클라이언트 수 | - | X | O | |
가동 시간(s) | 서비스 시작 후 현재까지 서비스를 실행 하고 있는 시간 | s(second) | X | O | |
CPU 사용량(System) | MySQL 프로세스에 의해 시스템 레벨(커널)에서 사용한 CPU 사용률 | % | X | O | |
CPU 사용량(User) | MySQL 프로세스가 사용한 CPU 사용률 | % | X | O | |
메모리 최대 사용량 | MySQL 프로세스가 사용한 메모리 최대치 | Bytes | X | O | |
메모리 사용량 | MySQL 프로세스가 사용한 메모리 | Bytes | X | O | |
프로세스 수 | 현재 동작하고 있는 MySQL 프로세스 수 | - | X | O |
로그 모니터링
로그가 반환하는 문자열을 이용해 모니터링을 합니다.
실시간 로그도 확인이 가능하며, 로그 감시를 추가하면 모니터링 항목이 추가 됩니다.
로그 감시 추가 항목이 곧 모니터링 항목이 되기 때문에 로그 모니터링은 아이템 항목이 없습니다.